이 지침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수여 규정 제13조 2항 및 제22조의 규정에 의거 학위 청구논문 작성에 필요한 세부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.
논문 작성계획서
학위수여규정(별지 제4호 서식)에서 정한 양식에 따라 논문작성계획서를 작성하여 대학원장 및 지도교수에게 제출한다. 제출된 논문작성계획서는 대학원장 및 지도교수 책임하에 보관한다.
석사학위청구논문 제출자격
-
석사학위 논문 제출자격은 당해 학기말까지 교과학점 30학점 이상 취득한 자로서 외국어시험과 종합시험에 합격한 자
-
논문지도를 받는 과정에서 변경되는 사항에 대하여는 논문지도교수 및 주임교수의 협의를 거쳐 변경승인신청서를 제출하여 대학원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.
석사학위논문 심사본 제출 시기 및 기한
-
논문의 제출 시기는 제1학기에 심사를 받고자 하는 자는 5월, 제2학기에 심사를 받고자 하는 자는 11월로 한다.
-
문 제출 기한은 따로 정하지 아니 한다.
석사학위 청구논문 심사 신청 서류
-
석사학위 논문 심사원 및 구두시험 응시원 (별지 제9호 서식)
-
석사학위청구논문발표결과보고서 및 심사위원추천서(별지 제8호 서식)
-
심사용 석사학위청구논문 4부
석사학위 최종 논문 제출
-
제출 장소 : 청주교육대학교 학술문화원(도서관), 교육대학원 행정실
-
제출 시기 : 7월, 12월
-
제출 부수
-
하드카바 2부(단, 2부 모두 심사위원 전원의 인준)
-
소프트카바 4부
-
학위논문이용허락서(예시6) 1부
-
학위논문 파일(온라인 제출)
학위논문의 체제
-
표지(겉표지) : (예시 1) 참조
-
속표지 : (예시 1)참조
-
학위논문제출서 : (예시 2)참조
-
인준서 : (예시3) 참조
-
목차
-
논문요약 : (예시 4)참조 ※ 반드시 「논문요약」으로 표기할 것(국문요약 × )
-
본문
-
참고문헌
-
외국어 초록(ABSTRACT) : (예시 5)참조
-
부록 (있을 경우)
-
감사의 글(생략가능)
학위논문의 규격
-
논문의 규격은 4×6배판(가로 19㎝, 세로 26㎝)으로 한다.
-
겉표지(하드카바)의 표지는 짙은 곤색 포크로스지로 하고, 금박으로 인쇄한다.
-
반양장(소프트카바)의 표지는 백색 220g 모조지로 하고, 흑색으로 인쇄한다.
-
내지는 100g 이상의 미색 모조지로 하고, 양면(兩面) 인쇄를 원칙으로 하되 이면(裏面)이 비치지 않도록 한다.
-
표지의 측면 세로쓰기를 제외하고, 가로쓰기(좌 → 우)를 한다.
학위논문의 조판
겉표지(예시 1)
-
논문 제목과 성명은 한글(국문)로 표기함을 원칙으로 한다. 단, 의미전달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한자(漢字) 및 널리 통용되는 외국어를 혼용할 수도 있다.
-
외국인의 경우 성명은 외국어로만 표기 하며, 외국어로 작성된 논문의 경우 외국어 제목과 국문제목을 병기하여야 한다.
-
논문 제목이 한 줄로 표기할 수 없을 때에는, 둘째 줄은 중앙에 균형있게 맞추어야 한다.
-
부제(副題)가 있을 경우, 논문 제목 아래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다.
-
논문 발간년도는 학위수여일이 속한 년, 월까지 표시한다. 예) 2006년 2월 졸업시 : 2006년 2월
-
기타 외표지에 기재되는 모든 사항은 중앙선을 중심으로 좌우 균형을 맞춰 배열한다.
표지 측면(서식 1)
-
기재내용 : 학위논문제목, 논문 발간년도, 성명
-
논문 제목은 한글(국문)로 표기함을 원칙으로 한다. 단, 의미 전달 목적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한자(漢字) 및 널리 통용되는 외국어를 혼용할 수도 있다.
-
논문 부제는 표기하지 않는다.(제목만 표기)
-
논문 발간년도는 졸업년도를 뜻하며, 아라비아 숫자로 세로로 표기한다.
-
학위논문 제목, 논문 발간년도, 성명을 세로로 표기한다.
속표지
겉표지와 동일하게 작성한다.
인준서
-
인준지의 서명과 날인은 심사위원장을 포함하여 3인으로 한다.
-
심사위원의 인준 증명은 날인으로 한다.
-
논문 지도교수는 해당 지도 논문의 심사위원장이 될 수 없으며, 심사위원 중 1인이 되어, 인준지 가장 하단에 날인을 한다.
-
논문 제출일은 “논문심사계획”상의 심사용 논문 제출기한이 속하는 년, 월까지만 표시한다. 예) 논문제출기한이 2005. 10. 22일 경우 : “2005년 10월” 표기
-
논문 인준일은 “논문심사계획”상의 논문 종심일이 속하는 년, 월까지만 표시한다. 예) 논문 종심기한이 2005. 12. 22일 경우 : “2005년 12월” 표기
본문
-
본문은 38자 × 25행 정도로 인쇄한다.
-
본문 분량은 논문 규격(19㎝ × 26㎝)을 기준으로 자유롭게 한다.
-
본문내용 : 글자크기 11pt 정도, 줄간격 180, 장평 100, 자간 0
-
각주 : 글자 크기 9~10pt
-
서체 : 명조체나 신명조체 류
-
글씨색 : 흑색(수록 자료는 칼라 가능)
-
용지 여백 : A4 규격 기준으로 상·하 40㎜, 좌·우 37㎜, 머리말 8㎜, 꼬리말 12㎜로 하고, 줄간격 180으로 한다. 이렇게 편집하면 4×6 배판 (19㎝×26㎝) 기준으로 상·하 21㎜, 좌․우 27㎜의 규격으로 제본할 수 있다.
-
페이지 표시는 각 면 하단 중앙에 위치하게 한다.
초록(ABSTRACT)(서식 4)
-
초록(ABSTRACT)은 본문이 국문으로 작성되었을 경우에는 외국어를 작성한다.
-
외국어로 논문이 작성되었을 때에는 반드시 국문초록을 첨부해야 한다.
-
논문초록의 길이는 2~7페이지 이내로 한다.
-
초록의 제목은 해당 원어(原語)로 한다. 한 줄로 표기할 수 없을 때에는 둘째 줄은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다.
-
부제는 제목의 하단 중앙에 위치하게 한다.
-
제목 하단에 성명, 전공, 학과, 학교명을 기재한다.
-
초록하단에 논문의 주제를 나타낼 수 있는 주요어(key words)를 표기해야 한다.
감사의 글
생략가능
제출 화일 작성 및 제출 요령
-
워드프로세서 : 윈도우용 워드
-
제출 화일 규격 : 온라인 제출
-
제출 파일 구성은 제본된 논문과 동일한 내용을 저장하고 표제지부터 초록과 그림파일, 감사의 글까지 논문 전체를 담고 있어야 함
-
제출 화일 작성 시 유의사항
-
바이러스감염에 유의 : V3, PC-Cillin등으로 바이러스 감염여부 확인 후 제출
-
논문 전문파일이 text문서 혹은 매킨토시에서 작성한 문서인 경우 PS (PostScript)파일 혹은 PDF파일로 변환하여 제출
학위논문의 표현
인칭, 존칭, 숫자
-
일반적으로 3인칭을 사용한다. 나, 우리라는 표현 대신 저자, 연구자, 필자 등의 3인칭 표현을 쓴다.
-
경어, 경칭, 존칭은 사용하지 않는다.
-
숫자는 원칙적으로 아라비아숫자를 사용한다. 그러나 10 이내의 수는 하나, 둘, 셋··· 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. 서열을 표시하는 경우는 첫째, 둘째, 셋째··· 등으로 표시한다.
외래어와 인명
-
가능한 한 외국어는 우리 글로 번역된 말을 사용한다.
-
특수한 역어를 사용할 경우 괄호 안에 원어를 넣는다. 예) “최근에는 행동주의(behaviorism) 사조가 퇴조하고 있다···”
-
괄호 안에 원어를 삽입하는 것은 처음 한 번만 표시하고 반복하지 않는다.
-
원어를 쓸 때 고유명사를 제외하고는 대문자를 사용하지 않는다.
-
적절한 역어가 없을 때에는 원어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고 괄호 안에 원어를 삽입한다. 예) 오리엔테이션(orientation)
-
인명을 표기할 때 한국명은 성명을 모두 기입하고 다른 나라 사람은 성(last name) 만을 기입한다. 예) 김순철 (한국명), James (미국명)
약어와 기호
-
한국어의 약어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다. 그러나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기관의 명칭은 약어로 표시하여도 좋다. 예) 청주교대(청주교육대학교)
-
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외래어로 된 약어는 그대로 사용한다. 예) IQ, YMCA
-
외래어로 된 약어만을 사용하였을 때 그 뜻이 전달되기 어려우리라고 판단되는 것은 괄호 속에 원어를 삽입한다. 예) WISC (Wechsler Intelligence Scale of Children)
-
한국어의 술어를 외국어로 약어화 또는 기호화해서 사용할 수 있다. 예) 피험자(S), 실험자(E)
-
통계적인 기호는 M(평균치), t(검증), S(표준편차)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.
-
양, 수, 거리를 표시하는 기호는 통상적인 기호 표기에 따른다. 예) %, kg, cm
장, 절의 구성
예) Ⅰ. Ⅱ. Ⅲ, …
1, 2, 3, …
가, 나, 다, …
1), 2), 3)…
가), 나), 다), …
(1), (2), (3), …
(가), (나), (다), …
①, ②, ③, …
㉮, ㉯, ㉰, …
도, 표의 표시 방법
-
도, 표에 관한 내용을 본문에서 언급하기 전에 그 도, 표를 먼저 제시하지 않는다.
-
도, 표는 가능한 한 본문이 있는 곳에 함께 제시하도록 한다. 즉, 도, 표에 관해 언 급한 후 곧 이어서 그 도, 표를 제시한다.
-
도, 표에는 각각 일련의 번호를 붙인다.
-
도, 표에는 제목을 붙인다. 표는 제목을 그 위에 붙이고, 그림은 아래에 붙인다.
-
표의 출처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‘주’를 붙인다. 주는 표 바로 밑에 기술한다.예) 자료: 김종서, 교육연구의 방법, 1980.
-
보충적 설명이 필요하면 *를 하고 도, 표 밑에 설명을 하되, 보충적 설명이 둘 이상 일 때는 **, ***, ․․․ 등의 표시를 한다.
-
도, 표를 제시하면 반드시 해설이나 해석을 붙여야 한다. 해설이나 해석을 붙일 때도, 표를 제시하고 해설이나 해석이라고 명기한 다음에 문장을 쓰는 경우가 있으나 그럴 필요는 없다. 즉 “<표 1>에서 보는 바와 같이 …” 하는 식으로 문장을 쓰면 된다.
인용과 각주
인용
-
직접인용의 기입요령
-
일반적으로 짧은 인용은 지문(연구자의 원문) 중에 삽입하고 인용부분이 긴 것은 지문에서 따로 떼어 배치한다.
-
짧은 인용은 인용문 앞, 뒤에 인용부호인 “ ” 표나, 『 』 표를 사용하여 지문 중에 삽입한다.
-
긴 인용은 지문과 행을 달리하여 지문이 시작되는 왼쪽 끝 글자 선으로부터 네 글자 정도의 간격을 두고 들여짜기(indention) 한다.
-
직접인용이 지문에서 처리될 때는 반드시 “ ”를 붙여야 하지만, 이 때 인용 부분의 일부에 이미 “ ”가 사용되었으면 이것을 ‘ ’로 바꾼다.
-
직접인용은 원문 그대로 옮겨야 하지만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줄임표 (···)로 표시해야 한다.
-
저자가 인용한 부분에 가필을 하고 싶으면 가필 부분에 각괄호([ ])를 해야 한다. 예) “그들[서양인]은 한국사회의 특징으로서…”,“그는 3.1운동 다음 해인 1919[1920]년에 출생하여…”
-
일반적으로 짧은 인용은 지문(연구자의 원문) 중에 삽입하고 인용부분이 긴 것은 지문에서 따로 떼어 배치한다.
-
간접인용의 기입요령
주(註)
-
주의 유형
-
참조주 예) 김인회, 한국인의 가치관 (서울: 문음사, 1979), pp.28~29.
-
내용주 예) “···이지적인 사람일수록 냉혹한 인간으로 묘사되기도 하며, 덜 지성적인 사람일수록 가정적이고 인간적이라는 편견을 낳기도 한다.1) 그러나 이처럼 사고를···”
1) 도스트예프스키의 ‘죄와 벌’에서 주인공을 추적하는 형사의 이지적이고 냉 혹한 면은 하나의 예이다.
-
각주의 형식
-
일반적인 방식(MLA)과 미국심리학회에서 권장하는 방식(APA) 중 하나를 택하거나 해당 학문 분야에서 흔히 쓰이는 방법을 택할 수 있다. 단, 어느 방법을 취하든 간에, 통일성, 일관성, 정확성을 지켜야 한다.
-
일반적인 방식(MLA)
-
단행본의 경우
-
저자 성명, 제목, 판수, 출판사(출판지 포함), 출판년도, 인용면
-
예
- 김종서, 현장연구의 방법, 현대교육기술강좌35(서울: 현대교육총서출판사,1965), p. 21.
- A.Wolf, Essentials of Scientific Method(New York: The Macmillan Co., 1930), pp.105~107.(영문인 경우에 책명은 이탤릭체를 사용한다.)
- 박준희․전찬화, 청년심리학(서울: 범문사, 1961), pp. 156~159.
- 정범모 외 5인, 교육계획(서울: 현대교육총서출판사, 1966), p. 35.
- 이인기 역, 학교와 사회, John Dewey저, The School and Society, (서울: 배영사, 1954), p. 61.
- 새교육연구회(편), 학교관리연구(서울: 교문관, 1958), p. 193.
-
정기 간행물의 경우
-
필자 성명, 논문 제목, 잡지 이름, 권-호수, 출판년도, 인용면
-
예
- 김종서, “현장연구의 보고서 작성요령”, 새교실, 제 8권, 제 9호(1963년 8월), p. 30.
- 이돈희, “교육과학 구성의 논리”, 한국교육학회(편), 교육학연구, 제 5권, 제2호(서울:배영사, 1967년 10월), pp. 10~12.
- Walter J. Ong, “Educationist and the Tradition of Learning,” The Journal of Education Ⅺ, February, 1958, pp. 59~60.
- 이은상, “여성의 사표 신사임당”, 동아일보, 1962년 6월 18일.
- 이돈희, Platon 교육철학과 Dewey 교육철학의 비교연구 (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, 1959년 11월), pp. 59~63.
-
다시 인용할 때는 ‘위의 글(상게서)’, ‘앞의 글(전게서)’ 로 표기한다.
-
바로 앞의 주에서 언급된 문헌을 인용할 때 (위의 글, 위의 책, 상게서, 상게논문, Ibid.)
-
다른 자료를 인용한 후 앞에서 사용한 문헌을 이용할 때 (앞의 글, 전게서, 전게논문, op. cit.2.)
-
동일 저자의 동일 페이지를 가리킬 때 (Loc. cit.)
-
미국심리학회(APA)의 형식
-
인용하는 저서나 논문의 저자명이 원문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부분 말미에 괄호를 치고 그 속에 저자명과 발행연도, 페이지(필요한 경우)를 표시한다.
예) 최근의 한 연구(김철수, 1996: 56~59)는 ···
-
저자의 이름이 원문에 나타나 있을 경우에는 발행년도만을 표시한다.
예) 홍성화(1965)는 ···을 발견하였다.
-
여러 저자의 각각 다른 연구를 동시에 인용하였을 때는 인용된 연구를 전부 표시한다.
예) 여러 저자의 연구결과(이영덕, 1963; White, 1964; Williams, 1965)는 ···을 증명하였다. 여러 저자의 연구 결과는 …을 증명하였다(이영덕, 1963; White, 1964; Williams, 1965).
-
저자의 저서를 직접 접하지 못하고 재인용을 했을 때는 다음 예와 같이 표기한다.
예) Holland(1997)의 직업적 성격유형 이론은 ...에 기초하고 있다(이종승, 2003, 재인용).
참고문헌
-
국내출판물, 외국출판물 순으로 배열하되, 가나다 순이나 알파벳 순을 따른다.
-
학과나 학문 분야의 관례에 따라 다른 참고 문헌 표기 방식으로 표기할 수 있다.
-
참고문헌 표기의 예 1 : MLA 형식
-
각주와는 달리 참고문헌에서는 출판사항(출판지명, 출판사명, 출판년도)을 ( )속에 넣지 않고 그대로 둔다.
-
양서의 경우 저자명을 표시함에 있어서 각주에서는 이름이 먼저 나오고 성이 나중에 오며, 참고문헌에서는 성을 먼저 쓰고 이름은 나중에 쓴다.
-
각주에는 페이지를 기입하나 참고문헌에는 페이지를 기입하지 않는다.
-
예
- 황정규, 학교학습과 교육평가, 서울: 교육과학사, 1984.
- Gronlund, N. E, Constructing Achievement Tests (2nd ed.), Englewood Cliffs, N. J.: Prentice-Hall, 1977.
- 진위교 외 3인, 현대수업의 원리, 서울: 정민사, 1983.
- 장상호(역), 인간주의 교육, C. H. Patterson 저, Humanistic Education. 서울: 박영사, 1980.
- 한명희, “도덕성 형성에 대한 인식론적 접근”, 교육학연구, 제 21권, 1983.
- Pillemer, D.B. , Light, R.J, “Synthesizing Outcomes: How to Use Research Evidence from Many Studies”, Harvard Educational Review. Vol. 50, No. 2, 1980.
- 김철수, 역할기대가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,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, 1969.
-
참고문헌 표기의 예 1 : MLA 형식
-
국내 문헌의 경우 성명에 이어서 ( ) 안에 출판년도를 먼저 적는다.
-
국 문헌의 경우 연구자의 성을 적고 쉼표를 한 다음, 이름은 약자만 대문자로 적고 마침표를 한다. 그 다음 ( ) 안에 출판년도를 적는다.
-
예
- 이종승(1989). 교육연구법. 서울: 배영사.
- Bernstein, T. M. (1995). A Modern Guide to English Usage. New York: Atheneum.
- 유기섭(1975). “학생들의 학습생활에 미치는 학급풍토의 영향”. 중앙대학교논문집, 인문․사회과학편 19.
- 교육부(1983). 교육통계연보. 서울: 교육부.
- 권낙원․김정규(1990). 교사와 교육. 서울: 형설출판사.
- 진위교 외 3인(1983). 현대수업의 원리. 서울: 정민사.
- 정범모․이성진(편) (1979). 학업성취의 요인. 서울: 교육과학사.
- Astin, A. W.(1961). “The Functional Autonomy of Psychotheraphy.” American Psychologist. Vol. 16, pp. 75~78을 인용한 이성진(1973). 행동 수정의 원리. 서울: 교육출판사.
- 박근(1993. 7. 17). “클린턴의 신아시아 정책”. 동아일보, 제 5면.
- Nash, J. M.(1993, January 11). “The Most Wanted Particle”. Time. p.43.
학위논문 제출 관련 주요 사항
학위논문 제출 관련 주요 사항표
구분 |
대상자 |
시기 |
관련서식 |
비고 |
논문 지도교수 배정 및 논문 지도 신청 |
논문지도 받고자 하는 자 |
3학기 수강신청 기간 내 |
석사학위청구논문지도교수배정신청서 (3호) |
|
논문 작성계획서 제출 |
논문지도 신청서 제출자 |
논문지도 신청서 제출 후 3개월 이내 |
석사학위청구논문작성 계획서 (4호) |
|
논문제출자격시험 |
외국어시험 |
3학기 이상 등록하고 12학점 이상 취득한 자 |
4월, 10월 |
외국어·종합시험 응시원서 (2호) |
|
종합시험 |
4학기 이상 등록하고 18학점 이상 취득한 자 |
4월, 10월 |
외국어·종합시험 응시원서 (2호) |
|
논문제목 변경신청 |
논문제목 변경자 |
논문심사 이후 변경하는 경우 |
논문제목 및 지도교수 변경승인신청서 (5호) |
|
논문 지도교수 변경신청 |
논문 지도교수 변경자 |
필요시 |
논문제목 및 지도교수 변경승인신청서 (5호) |
지도교수 및 전공주임교수와 협의 |
논문 지도요지서 제출 |
지도교수 |
매학기 말 |
석사학위청구논문지도 요지서 (6호) |
|
논문 발표 신청 |
3학기 이상 논문지도 받은 논문 제출 희망자 |
4월, 11월 |
석사학위청구논문발표 신청서 (7호) |
|
논문 발표 결과보고 |
지도교수전공주임교수 |
논문 발표 후 1주일 이내 |
석사학위청구논문발표결과 보고서 및 심사위원추천서 (8호) |
논문 심사여부 결정 |
논문 심사 및 구두시험 신청 |
논문 심사 희망자 |
6월, 12월 |
석사학위청구논문심사원 및 구두시험 응시원 (9호) |
논문 심사료 150,000원 포함 |
논문 심사 및 구두시험 위원 추천 |
지도교수 전공주임교수 |
6월, 12월 |
석사학위청구논문발표결과보고서 및 심사위원추천서 (8호) |
|
논문심사 및 구두시험결과 보고 |
논문 심사위원장 |
논문 심사 요청 일로부터 1개월 이내 심사 후 |
석사학위청구논문심사 및 구두시험결과보고서 (10호) |
-
논문 : 위원 2/3 이상 찬성
-
구두시험 :평균 70점 이상
|
최종 논문 제출 |
논문심사 및 구두시험 합격자 |
7월, 12월 |
-
하드카바 2부
-
소프트카바 4부
-
논문화일 : 온라인제출
-
학위논문이용허락서
|
하드카바 2부는 심사위원 전원 인준 |
졸업사정 |
대학원위원회 |
8월, 2월 |
|
|
학위논문 제출 및 심사 절차

